본문 바로가기
잡다한 공연 이야기

명품 블랙 코미디 연극, '언더스터디'

by 매들렌 2021. 12. 24.
728x90

연극 언더스터디 공연 포스터
연극 언더스터디

 

 

주연 배우의 대역을 뜻하는 '언더스터디'

지극히 평범한 배우이자 아직은 무명인 해리가, 미발표된 세계적인 작가 프란츠 카프카의 작품에 참여 중인 제이크의 언더스터디로 캐스팅되어 들어온다.  이 작품의 주인공인 할리우드의 전설적인 탑 배우 브루스가 하차할 수도 있는 상황이다. 그래서 브루스의 언더로 제이크가 제이크의 언더로 해리가 캐스팅되어 있다. 제이크는 자신의 언더스터디로 아무도 모르는 무명 배우가 캐스팅되어 온 것에 불만을 제기하지만, 오로지 프로덕션의 안정적 운영을 위해 무대감독 록산느는 리허설에 최선을 다하며 이 상황을 해결하려고 노력한다. 

록산느는 제이크의 언더로 자신의 전 약혼자인 해리가 오게 되자, 자신의 일적인 삶과 사적인 삶 사이에서 감정이 서로 충돌하는 것을 발견한다. 리허설이 진행될수록 해리와 제이크는 서로 의견 충돌을 보이고 점점 상황이 복잡해져간다.

 

언더스터디? 얼터네이트? 

국내에서는 원캐스트(한 명의 배우가 역할을 도맡아 연기)가 드물고 더블캐스트가 기본이며 많게는 트리플 캐스트까지도 볼 수 있다. 그래서 '언더스터디' 나 '얼터네이트'의 개념이 익숙하지 않다. 게다가 공연 주관사에서도 특정일에 어떤 배우가 나오는지 사전에 공지하는 경우가 많다. 하지만 공연예술의 본고장 미국에서는 한 배우가 한 작품을 끝까지 책임지고 가는 '원캐스트'는 매우 흔한 일이다. 한 번 공연을 시작하면 장기간 공연하는 일이 많기 때문에 '언더스터디', '얼터네이트'의 역할을 하는 배우도 탄탄한 경력을 가진 경우가 많다. 주연 배우가 무대에 오르지 못할 때 종종 무대를 책임지고 있다고 한다. 얼핏 보면 비슷해 보이는 세 가지 용어는 다음과 같은 차이가 있다. 

 

ㆍ언더스터디 : 주연 배우가 불가피하게 공연에 오르지 못할 때에만 대신하여 무대에 오를 수 있다. 얼터네이트에 비해 무대에 자주 오르지 못하지만, 다양한 역할을 할 수 있어야 하기 때문에 춤, 노래, 연기 무엇도 빠지지 않는 배우들이 기용된다.

ㆍ 얼터네이트 : 국내 더블캐스트와 느낌이 비슷한데, 전체 공연 중 총 몇 회 무대에 오를지 사전에 정해진 배우를 가리킨다. 국내의 더블캐스트에 비하면 무대에 오를 수 있는 횟수가 제한되어 있다. (주로 주 2-3회 정도) 

 

 

국내 초연하는 작품

연극 언더스터디는 미국 드라마 'NYPD BLUE'로 애드가 상을 수상한 미국의 극작가 테레사 레백의 작품으로 특유의 위트와 스타일리시한 표현이 가미된 작품이라고 한다. 무대감독 록산느가 공연을 준비해 가는 과정에서 벌어지는 쇼 비즈니스계의 냉혹한 현실을 리얼하면서도 재미있게 담아낸 블랙코미디이다. 

카프카 미공개 발표작이라는 설정이지만 실제로는 극 초반에 카프카의 '성', 후반부에는 '심판'을 연상시키는 이야기였다. 언더스터디인 제이크와 해리는 리허설을 하며 카프카의 연극을 연습하는 연극 속의 연극 형태로 진행되는 구조였다. 

또한 할리우드 스타 시스템과 쇼 비즈니스 세계의 냉혹함에 대한 비판도 있었지만 배우라는 직업으로 살아가는 개인의 고충과 고뇌도 보여주는 작품이었다. 헐리우드 스타이든 무명 연극배우든지 간에 연기 하는 직업을 가진 배우들의 삶도 들여다 볼 수 있는 연극이었다. 이것이 꼭 남의 이야기만은 아닌 것이 우리나라에서도 충분히 있을 수 있는 이야기라는 생각이 든다. 

 

우리나라 창작극의 미래

브로드웨이 스타도 있는데 왜 하필 매체가 다른 헐리우드 스타인가 싶기도 했다. 하지만 뭐든 상관없다. 스타 시스템이라는 것은 똑같으니까. 다만 이 좋은 작품이 라이선스라는 것이다. 즉, 번역극이다. 우리나라 영화와 드라마가 세계적으로 인기를 얻고 있는 지금, 연극도 좀 수출해서 그 나라 말로 번역되어 공연되는 것을 보고 싶다. 뮤지컬로는 <명성황후>와 <영웅>이 미국에서 공연된 적이 있다고 들었다. 그러나 연극은 하나도 없는 듯하다. 이건 내 생각인데 우리나라와 한글이 유명해지고 한국어를 배우려는 사람이 늘어난 만큼 세종대왕이 나오는 이야기로 연극이나 뮤지컬이 만들어지면 어떨까 싶다. 좋은 배우들의 연기를 보는 것도 좋은데 라이선스 번역극보다는 이왕이면 우리나라 창작극을 더 많이 보고 싶다. 그래서 미국의 브로드웨이나 영국의 웨스트엔드에서 대한민국 연극과 뮤지컬이 성황리에 공연되는 그날을 죽기 전에 꼭 보고 싶다.

728x90

댓글